티스토리 뷰
반응형

최근 한국 경제가 심각한 고용 위기와 저성장 쇼크에 직면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제2의 IMF"가 오고 있다는 말까지 하는 사람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경제 지표는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대응이 필요한지 굵고 짧게 살펴보겠습니다.
✅ 고용시장 '20년 만의 최악 상황'
- 실업자 수 94만 명, 작년 대비 2.5만 명 증가
- 청년 실업자만 50만 명 돌파,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 아르바이트조차 경쟁 치열… “쪼개기 알바”만 남아
-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 21년 만에 최저 수준
- 구인 배율 0.4까지 하락 → 인재를 채용하는 기업 절반 이상 감소
- “생산, 소비, 투자” 3대 축이 모두 하락한 트리플 감소, 5년 만의 최악 상황
📉 경기지표로 본 경제 흐름
경기선행지수 vs 동행지수, 불길한 시그널
- 경기선행지수: 미래 6개월을 예측하는 지표
- 경기동행지수: 현재의 경제 상태를 반영
- 최근 선행지수는 계속 상승했지만 동행지수는 하락, IMF 직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
🌍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 미국의 경기 침체 확률 'JP모건: 40%, 야겐이 리서치: 35%, 골드만삭스: 20%'
- 수치가 위협적이지 않으나 연초와 비교해 침체 확률이 계속 상승하고 있음
- 미국 경기 침체는 한국 경제에 큰 쇼크를 가져올 수 있음
- 2008년 금융위기보다 더 큰 충격이 한국에 올 수 있다는 분석도 존재
미국 경기 침체 → 환율 상승 → 자본 유출 → 한국 경제 연쇄 충격

💡 경기 침체에 대응 준비
- 현금 확보
- 대출 축소
- 자산 리스크 관리
미래를 100%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신의 영역입니다. 즉, 미래를 맞추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호황과 불황에 맞춰서 행동하려는 적절한 대비책은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무조건적인 상승만 기대하고 리스크 관리 없이 투자를 지속하면 작은 충격에도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지금은 냉정함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경제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도 주변을 돌아다녀 보면 경기가 예전 같지 않다는 걸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