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딸인 줄 알고 송금했는데, 목소리도 똑같았어요.”
“검사라고 해서 믿었는데, 알고 보니 전화를 해킹한 범죄자였어요.”
보이스피싱 피해는 매일 진화하며, 누구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최초로 연간 1조 원을 돌파했으며, 피해 연령대는 10대부터 70대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특히 AI, 빅데이터, SNS 정보 활용 등으로 정교해진 수법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보이스피싱의 최신 통계 (2024 기준)
항목 | 수치 |
전체 피해금액 | 1조 1,400억 원 |
1인당 평균 피해금 | 약 1,260만 원 |
가장 많은 피해 연령대 | 50~60대 (디지털 취약계층) |
피해 유형별 비율 | 정부기관 사칭(31%), 가족사칭(29%), 대출사기(25%) 등 |
피해 신고율 | 40% 이하 (피해 인식 늦거나 신고를 꺼림) |

최신 보이스피싱 수법 TOP 6
1. AI 음성합성 기반 ‘딥보이스’ 피싱
가족이나 지인의 목소리를 AI가 실시간으로 흉내 내며 사기를 칩니다.
📌 수법
- “엄마, 지금 급하게 돈 좀 보내줘.”
- “핸드폰이 고장 나서 다른 번호로 연락했어.”
- 목소리와 억양까지 진짜처럼 들려 믿고 송금하는 피해 속출
💡 심리전
- 부모의 보호 본능 자극
- 긴급 상황 강조 → 판단력 약화
🔐 예방 방법
- 영상통화 또는 기존 번호로 다시 전화하기
- “돈 관련 얘기 나오면 일단 끊고 확인” 습관화
- 가족끼리 비상 연락 암호 정해놓기도 효과적
2. 수사기관 사칭형 ‘공포 유도 피싱’
📌 수법
- “고객님의 명의가 범죄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금융감독원과 공조 중입니다. 자산을 보호계좌로 옮기세요.”
- 사칭 기관: 검찰청, 경찰청, 금감원, 국세청 등
💡 심리전
- ‘신분 도용’, ‘압수수색’, ‘체포영장’ 등 단어로 공포 유도
- 합법적인 절차처럼 보여 피해자 방심 유도
🔐 예방 방법
- 모든 정부기관은 전화로 자산이체를 요구하지 않음
- 의심스러울 경우 공식 기관 번호로 직접 확인
- 이름 + 번호 검색으로 사기전화 확인 가능
3. 메신저 피싱 (카카오톡·문자 기반)
📌 수법
- 지인·가족 프로필 도용 → “폰 고장, 급히 송금 부탁”
- 계좌번호 전송, 택배비 입금, 상품결제 사기 등 다양
- 링크 클릭 유도 → 악성 앱 설치 후 개인정보 탈취
💡 심리전
- 감정적 압박(“지금 안 보내면 안 돼”)
- 현실적인 대화 흐름 유도 → 의심 줄이기
🔐 예방 방법
- 영상통화 or 음성 통화로 실시간 본인 확인
- 링크 클릭 절대 금지, 메시지 전송 시간대도 체크
- SNS 계정은 이중 인증 활성화 필수

4. 스미싱 + 가짜 금융 앱 유도
📌 수법
- “고객님 계좌에 이상 거래 발생” 문자 전송
- 링크 클릭 → 가짜 은행 앱 설치 → 계좌 정보 탈취
- 은행 로고, 상담원 응대도 사실적으로 구성
💡 심리전
- 금융 사고에 대한 공포 → 급하게 대응 유도
🔐 예방 방법
- 금융앱은 오직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서만 설치
- 문자로 받은 앱은 100% 사기
- 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 노출 주의
5. 대출빙자 ‘보증금 유도형’ 사기
📌 수법
- "신용등급 낮아도 즉시 대출 가능"
- "보증보험료만 입금하시면 대출 진행"
- 신청 후 연락두절 or 위조 서류 요구
💡 심리전
- 절박한 상황 노림 → 신속한 결정 유도
🔐 예방 방법
- 사전 수수료·보증금 요구하는 대출은 100% 불법
- 금감원 등록 여부 확인 (금융소비자포털 이용)
- “대출 진행 중 돈을 요구하면 일단 의심부터”
6. 자녀 사고·학교 사칭형
📌 수법
- “자녀가 교통사고를 당해 병원에 입원 중입니다.”
- “교사입니다. 핸드폰 사용이 제한되어 부모님께 연락드립니다.”
- 병원비 명목으로 송금 유도
💡 심리전
- 부모의 공포심 자극 + 긴박한 분위기 조성
🔐 예방 방법
- 학교·자녀 본인에게 직접 연락 시도
- 자녀 이름, 학교, 학년 등 정보 먼저 확인 요청
- 한 번이라도 의심되면 즉시 112 신고
보이스피싱 예방 행동 수칙
- 모르는 전화, 정부기관 사칭 시 절대 응답 X, 끊고 검색
- 메신저로 송금 요청 시 영상통화 또는 기존 번호 확인
- 금융 관련 링크 클릭은 절대 금지
- 대출 또는 환급 명목으로 선입금 요구 = 사기
- 문자·이메일로 받는 송금 요청은 10초 멈추고 확인
- 피해 의심 시 즉시 112(경찰), 1332(금감원)에 신고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실용 서비스
서비스/앱 | 주요 기능 |
후후, T전화 | 스팸 전화 식별·차단, 실시간 사기 번호 알림 |
금감원 파인 | 정식 금융회사 조회, 대출 사기 예방 |
네이버 인증서, 카카오 인증 | 본인확인, 송금 이중 인증 |
경찰청 사이버범죄신고 | 피해 신고, 사기 번호 등록 |
이런 경우 바로 신고하세요!
- “금융거래에 이상이 있다”면서 앱 설치 유도
- 가족·지인 음성으로 송금 요청
- 대출 진행 전 수수료 요구
- 정부기관 사칭 + 자산이체 지시
- 학교나 병원 사칭하며 급하게 송금 유도
📞 즉시 신고처
- 경찰청 112
- 금융감독원 1332
- 정부민원콜센터 110
- 사이버범죄신고센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