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올림픽위원회(IOC) 회장은 올림픽과 국제 스포츠계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자리입니다. 올림픽 개최지 선정, 스포츠 정책 결정, 재정 운영, 국제 스포츠 외교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하며, 세계 스포츠의 흐름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현재 IOC 회장인 토마스 바흐(Thomas Bach)의 임기가 2025년에 종료될 예정이며, 새로운 회장을 선출하는 선거가 한국 시간으로 3월 20일 늦은 밤 또는 21일 새벽에 진행됩니다.
이번 IOC 회장 선거에는 여러 유력 후보들이 출마하며, 특히 스포츠 행정 경험이 풍부한 인물들과 올림픽 메달리스트 출신 인사들이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IOC 회장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누가 차기 회장이 될 가능성이 높은지 알아보겠습니다.
1. IOC 회장의 주요 권한
IOC 회장은 단순히 상징적인 존재가 아니라 전 세계 스포츠 정책을 조율하고,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핵심적인 결정을 내리는 자리입니다.
1) 올림픽 개최지 선정
올림픽이 어느 나라, 어느 도시에서 열릴지는 IOC 총회와 집행위원회가 결정하지만, 그 과정에서 IOC 회장은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 후보 도시 선정: 각국이 개최를 희망하면, 회장이 이를 조율하며 후보 도시를 검토합니다.
- 올림픽 유치 평가: 각 도시의 재정, 경기장 인프라, 교통, 환경 보호 계획 등을 평가합니다.
- 유치 과정 조율: 각국 정부와 협력하여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지원을 논의합니다.
2) 국제 스포츠 정책 결정
IOC는 단순히 올림픽만 운영하는 조직이 아닙니다.
- 올림픽 종목 추가 및 제외
- 경기 규정 변경
- 스포츠 발전 및 청소년 올림픽 육성
이 모든 정책을 결정할 때, IOC 회장은 스포츠 연맹과 협력하며 최종 조율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3) 재정 및 후원 관리
올림픽은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행사입니다. 회장은 스폰서 유치, 중계권 판매, 예산 집행 등을 통해 올림픽이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합니다. 특히, IOC는 코카콜라, 삼성, 나이키 등 글로벌 기업과 장기적인 후원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회장은 이런 대형 후원사와 협력하여 재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4) 도핑 및 윤리 문제 감독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입니다. IOC는 세계반도핑기구(WADA)와 협력하여 올림픽에서 도핑을 철저하게 감시하고 있으며, 회장은 이 정책을 총괄합니다. 또한, 스포츠 경기에서 발생하는 부정행위, 심판 판정 논란, 윤리 문제 등을 감독하고, 필요하면 징계를 내리는 역할도 합니다.
5) 국제 스포츠 외교
IOC 회장은 단순한 스포츠 지도자가 아닙니다. IOC회장은 국제 스포츠 외교관 역할도 수행합니다.
- 각국 정부와 협력하여 스포츠 발전 정책을 논의
- 분쟁 지역에서도 스포츠를 통한 평화적 교류 추진
- 국가 간 정치적 갈등이 스포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율
2. 차기 IOC 회장 선거 개요 및 예상 승리 후보
1) 선거 방식
IOC 회장은 IOC 위원 100여 명의 비밀투표로 선출됩니다. 단임 임기는 8년이며, 연임할 경우 추가로 4년 더 재임할 수 있습니다.
2) 현재 선거 분위기 및 예상 승리 후보
이번 선거에서는 현재 IOC 체제를 유지할지, 개혁을 단행할지가 핵심 쟁점입니다. 현재 가장 강력한 후보로 꼽히는 인물은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주니어(Juan Antonio Samaranch Jr.)입니다.
🏆 가장 강력한 후보: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주니어(Juan Antonio Samaranch, Jr.)
- 국적: 스페인
- 현직 IOC 부위원장
- 그의 아버지인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는 1980~2001년 IOC 회장을 역임하며 올림픽을 상업적으로 발전시킨 인물
- IOC 내에서 탄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선거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
🥈 강력한 경쟁자: 세바스찬 코 (Sebastian Coe)
- 국적: 영국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세계육상연맹(WA) 회장으로 성공적인 스포츠 행정 경험 보유
- IOC 개혁을 강조하며, 개혁적인 인사들의 지지를 받고 있음
🥉 다크호스: 커스티 코번트리 (Kirsty Coventry)
- 국적: 짐바브웨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IOC 선수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선수 중심 개혁을 주장
- 아프리카 및 젊은 IOC 위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어 예상보다 선전할 가능성이 높음
3. 차기 IOC 회장 후보 7명
1)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주니어 (Juan Antonio Samaranch Jr.)
- 국적: 스페인
- 현직: IOC 부위원장
- 강점: IOC 내부에서 강한 네트워크 보유, 경험 많은 스포츠 행정가
- 약점: 개혁적인 이미지 부족
2) 세바스찬 코 (Sebastian Coe)
- 국적: 영국
- 현직: 세계육상연맹(WA) 회장
- 강점: 2012 런던 올림픽 성공적으로 개최, 개혁적인 스포츠 행정가
- 약점: IOC 내 지지층이 확고하지 않음
3) 커스티 코번트리 (Kirsty Coventry)
- 국적: 짐바브웨
- 현직: IOC 선수위원장
- 강점: 아프리카 최초의 IOC 회장이 될 가능성, 선수 중심 개혁 주장
- 약점: 행정 경험 부족
4) 다비드 라파르티앙 (David Lappartient)
- 국적: 프랑스
- 현직: 국제사이클연맹(UCI) 회장
- 강점: 유럽 스포츠 행정 경험 풍부, 2024 파리 올림픽과 맞물려 프랑스 출신 회장 선출 가능성
- 약점: IOC 내에서 지지 기반이 확고하지 않음
5) 요한 엘리아쉬 (Johan Eliasch)
- 국적: 스웨덴/영국
- 현직: 국제스키연맹(FIS) 회장
- 강점: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헤드(HEAD)’ CEO 출신으로 재정 및 경영 능력 탁월,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한 스포츠 발전에 대한 비전 보유
- 약점: IOC 내에서 정치적 영향력이 부족하며, 동계 스포츠 중심 인사라는 점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6) 페이살 알 후세인 왕자 (Prince Faisal bin Al Hussein)
- 국적: 요르단
- 현직: 요르단 올림픽위원회 회장
- 강점: IOC 내에서 꾸준한 활동을 해오며 탄탄한 네트워크를 구축, 중동 지역의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점에서 글로벌 스포츠 균형 발전 기조와 부합
- 약점: IOC 내부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정도로 강한 후보는 아님
7) 와타나베 모리나리 (Morinari Watanabe)
- 국적: 일본
- 현직: 국제체조연맹(FIG) 회장
- 강점: 아시아 출신으로 IOC의 지역 균형 정책에서 강점을 가질 가능성, 국제 체조계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스포츠 행정 능력을 입증
- 약점: IOC 내에서 지지기반이 약함
2025년 IOC 회장 선거는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주니어가 유력한 선두 후보로 평가되며, 세바스찬 코, 커스티 코번트리가 강력한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요한 엘리아쉬, 페이살 알 후세인 왕자, 와타나베 모리나리도 각 지역과 활동 스포츠 분야에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선거 과정에서 각 후보의 정치적 역량과 국제 스포츠계 내 영향력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